바지


아랫도리에 입는 옷의 하나. 바지라는 말은 기록상으로 정인지(鄭麟趾)가 ‘파지(把持)’라고 한 것이 최초이며 영조 때 간행된 《국혼정례》나 《상방정례》에도 모두 ‘파지’로 기록되어 있는데, 조선말의 《궁중의대발기》에 ‘바지’라는 기록이 처음 보인다. 왕과 왕비의 바지는 특별히 ‘봉디’라 하였다. 우리 나라의 바지는 고대에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리 옷의 기본복식으로 형태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남자바지는 조선시대에 사폭이 조금 넓어졌다 좁아졌다 하는 정도이며, 여자의 바지는 속옷화하여 조선시대에는 밑이 벌어지는 형태가 되었다가, 근래에는 다시 원래의 막힌 형태로 돌아가고 있다.

[고대] 중국 사료에 의하면, 고구려에서는 궁고(窮袴)ㆍ적황고(赤黃袴)ㆍ장고(長袴)ㆍ대구고(大口袴)를 입었고, 백제에서는 청금고(靑錦袴)와 곤을 입었으며, 신라에서는 가반(柯半)과 갈고(褐袴)를 입었다고 한다. 《삼국유사》나 《삼국사기》에도 삼국시대의 바지에 대한 기록이 있어 능고(綾袴)ㆍ청금고ㆍ적고 등이 보이고, 《삼국사기》 색복조(色服條) 부인복 중에 고(袴)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삼국의 남녀 모두가 바지를 입었음을 알 수 있다. 바지의 여러 명칭은 그 모양이나 사용된 옷감, 색에 의해 붙여진 것인데 폭이 넓은 것은 대구고ㆍ고대구ㆍ태구고, 길이가 긴 것은 장고, 옷감의 종류와 색에 따라 갈고ㆍ적황고ㆍ청금고ㆍ능고 등으로 부른 것이다. 6세기 고구려고분벽화의 인물 복식에서도 여러 가지 바지 모양을 볼 수 있다. 바지의 폭은 계급의 상하에 따라 달라, 귀인은 관고(寬袴)를 입고 있으며 시중드는 사람은 관고보다 폭이 좁은 세고(細袴)를 입고 있다. 대체로 관고는 모두 바짓부리를 묶었는데, 세고는 묶지 않은 채 부리 끝에 별색(別色)의 선을 댔다. 곤은 장수나 수문장겳せ?씨름하는 사람들이 입고 있는데 이는 현재의 여름용 잠방이와 같은 것이다.

[고려] 고려시대에는 바지에 대한 기록이나 자료를 거의 볼 수 없다. 《고려도경》 장위조(仗衛條)에 궁고ㆍ백저궁고(白紵窮袴)가 보이고 이규보(李奎報)의 시에 쇠코잠방이를 입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 조선시대에는 《탁지정례》ㆍ《국혼정례》ㆍ《상방정례》ㆍ《가례도감의궤》ㆍ《궁중의대발기》에 바지와 이의(裏衣)ㆍ말군(襪裙)ㆍ봉디ㆍ너른바지ㆍ누비바지 등 다양한 기록이 보인다. 남자의 바지는 고대에서부터 그 기본형에 변화가 없이 명칭만 변화되면서 바지ㆍ고의ㆍ잠방이라고 하여 겉옷과 속옷으로 입었으나, 여자의 바지는 속옷화하여 치마 속에 입게 되었다. 여자의 속바지로는 바지ㆍ너른바지ㆍ고쟁이ㆍ단속곳 등이 있었고 겨울에는 명주ㆍ삼팔ㆍ자미사ㆍ호박단 등으로 솜을 두어 만들었다. 봄ㆍ가을에는 숙고사ㆍ진주사 등으로 겹바지를 만들었으며, 여름에는 옥양목이나 모시 등으로 홑고쟁이를 만들어 입었다. 다만 말군이 있어 상류계급 여자들이 말이나 가마를 탈 때 착용하였는데, 이는 여자들이 바지를 겉옷으로 입었던 풍습에서 유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남자바지의 모양은 폭이 넓고 마루폭ㆍ사폭ㆍ허리로 구성되어 있다. 어린아이의 바지로는 풍차바지가 있다.(朴京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