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ㅇ>우>우창숴  

인쇄 하기  html이나 txt파일로 저장 합니다.  원하시는 곳에 붙여넣기 하세요.  글자 크기 크게 글자 크기 작게
- 우창숴(吳昌碩) -

- 생몰년 : 1844~1927
- 국    가 : 중국


吳昌碩 1844~1927

중국 청(淸)나라(1616~1912)의 서화가(書畫家)이며 전각가(篆刻家).

이름은 쥔칭(俊卿), 자(字)는 샹부(香補)였는데, 중년 이후에 창숴로 바꾸었으며, 창숴(倉碩)⋅창스(蒼石)라고 쓰기도 한다. 호(號)는 고철(苦鐵)⋅부려(缶廬)⋅대롱(大聾).

대대로 내려온 독서인(讀書人)의 집안으로, 저장성(浙江省) 안지현(安吉縣)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수재였는데, 17세 때 태평천국[太平天國, 중국 청나라 말기 홍수전(洪秀全, 1814~1864)과 농민 반란군이 세워 14년 동안 존속한 나라(1851∼1864)]의 전란(戰亂)이 고향에까지 미쳐 어머니⋅아우⋅여동생⋅약혼자까지 사별(死別)하는 슬픔을 겪었다.

오랫동안 뤼수이[濾水, 양쯔강(揚子江)의 주요 상류 중 서쪽 끝에 있는 강]에 살면서 그림으로 생계를 유지하였다. 시⋅그림⋅글씨⋅전각에 조예가 매우 깊었다. 한대(漢代)의 비문(碑文)을 많이 읽었고, 역대 전각의 장점을 취한 새로운 전각법을 개발하였다.

석고문(石鼓文)을 연구하면서 석고 문자를 모방한 글씨를 잘 썼으며, 독자적인 전법(篆法)을 창안하였고, 오른쪽 어깨를 치켜올린 신선한 모양의 전서(篆書)⋅예서(隸書)⋅해서(楷書)⋅행서(行書)⋅초서(草書)에 모두 정통하였고, 30세 이후에는 전서 필법(筆法)으로 그림을 그렸다.

중년에는 석고문을 모방하는 데 힘을 기울였는데, 글씨는 간결하면서도 힘이 있고 소박하면서도 중후하다.

도장 새기는 것에서는 처음에는 절파(浙派, 중국 명나라 말기 때 발생한 회화의 한 파)의 기법을 배웠고, 등석여[鄧石如, 1743~1805, 중국 청나라의 서가(書家)]⋅오양지(吳讓之, 1799~1870, 중국 청나라의 전각가)⋅조지겸(551)의 영향을 받았으며, 나중에 금석문(金石文)을 깊이 연구하여 일가(一家)를 이루었다. 서법(書法)과 전각 분야에서도 업적이 탁월하다.

만년(晩年)에는 주로 전서⋅예서⋅광초(狂草)를 썼는데, 호쾌하고 분방하다. 또 해서는 굳세고 힘이 넘치는 것이 특징이다.

자유롭고 활달한 풍(風)과 새 양식을 창시하여 서화에 힘을 쏟았고, 시문(詩文)에도 능하여 청나라 말기부터 현대에 걸쳐 일세를 풍미하였다.

청나라 말기에 직례 지주(直隷知州), 53세에 이르러 비로소 만주(滿洲) 안둥[安東, 지금의 롄수이(漣水)] 현령(縣令) 등을 지냈으나, 1개월 만에 사직, 10년 남짓의 벼슬 생활을 청산하고 장쑤성(江蘇省) 상하이(上海)에 몸을 숨기고 문예에 전념하였다.

1904년 저장성 항저우(杭州)에 서령인사(西泠印社)가 세워져 초대 사장으로 추대되었다.

그림은 50세가 넘어서 시작하였으며, 70세 이후부터는 작품을 팔아 생활하였는데, 이것이 그를 널리 알려지게 하였고, 그 지위를 국제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그림은 서위(236)⋅석도(240)⋅주탑(561) 등과 ‘양저우 팔괴(揚州八怪)’를 배워 그 영향을 받았는데, 특히 석도의 영향이 컸다. 조지겸(551)풍의 개성적인 화풍(畫風)을 이룩하였고, 글씨 쓰는 법으로 그림을 그려 힘찬 느낌을 준다.

매화와 국화 그림은 맑고 도도하며, 운필법(運筆法)이 자연스럽고 붓의 힘이 종이 뒷면에 배어들 정도로 힘차서 금석문의 참맛을 맛볼 수 있다. 필묵(筆墨)은 노련하고 중후 웅혼하며 색조는 절박하고 온후하다.

보기 드문 구도와 소재를 택하고 전서 필법을 최대한 구사(驅使)하여 독특한 선(線)의 느낌을 자아낸다. 중후한 필선(筆線)의 화법(畫法)을 창출하여 동양 회화 미술사상(美術史上) 새로운 문인화(文人畫)의 경지를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화초화에 뛰어나 모란⋅포도⋅등나무 등을 대담한 구도 속에 싱싱하고 아름다운 색채로 그렸고, 소나무⋅대나무⋅매화나무의 세한삼우(歲寒三友)와 기석(奇石) 그림은 호방하면서도 참신하다.

근대 이전 중국 전각의 마지막 대가(大家)로, 많은 제자들을 양성하여 중국 화단(畫壇)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인보(印譜)에는 [삭고려 인존]⋅[우쥔칭 인존] 등이 있고, 서화집에는 [고철쇄금] 등이 있다.

지은 책으로 [부려시(缶廬詩)](모두 4권)⋅[부려인존(缶廬印存)](모두 2권)과 많은 화집이 있다.

그림으로는 [등화난만도(藤華爛漫圖)](1916년)⋅[모란목련도(牧丹木蓮圖)](1924년)⋅[벽도개화도(碧挑開華圖)]⋅[옥란도(玉蘭圖)]⋅[자등도(紫藤圖)]⋅[추국가색도(秋菊佳色圖)]⋅[파초장미도(芭蕉薔薇圖)] 등이 있다.

상위  이전  다음


제작 : 동방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