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ㅇ>이>이정  

인쇄 하기  html이나 txt파일로 저장 합니다.  원하시는 곳에 붙여넣기 하세요.  글자 크기 크게 글자 크기 작게
- 이정(李霆) -

- 생몰년 : 1541~1622
- 국    가 : 한국


李霆 1541(중종 36)~1622(광해군 14)

조선(朝鮮, 1392~1910)의 화가.

자(字)는 중섭(仲燮), 호(號)는 탄은(灘隱), 본관(本貫)은 전주(全州).

세종(世宗, 1397~1450, 조선의 제4대 왕. 재위 1419~1450)의 현손(玄孫)으로, 아버지는 익주군(益州君) 이지(李枝)이다.

석양정(石陽正)에 봉해졌다가, 나중에 석양군(石陽君)에 진봉(進封)되었다.

시(詩)⋅서(書)⋅화(畫)에 뛰어난 ‘삼절(三絶)’로 명성이 높았으며, 특히 묵죽화(墨竹畫)에서는 신위(276)⋅유덕장(368)과 함께 ‘조선 시대 3대 묵죽화가’로 손꼽힌다. 또한 당시 어몽룡(309)의 묵매(墨梅, 수묵화의 매화), 황집중(632)의 묵포도(墨葡萄)와 함께 ‘삼절’로 일컬어졌다.

조선의 화단(畫壇)은 도화서(圖畫署)가 중심이 되었으나, 중국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조선의 사대부(士大夫) 간에는 묵죽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그런 속에서 소박한 화풍(畫風)으로 그 방면의 독자성을 개척한 작가로서 주목된다.

임진왜란(壬辰倭亂, 1592~1598년, 선조 25~31년) 때 일본군의 칼에 맞아 오른팔을 크게 다쳤으나, 회복한 뒤 더욱 격조가 높아졌다고 한다.

같은 시대의 최립(崔岦, 1539~1612, 조선의 문인이며 문신)과 허균(許筠, 1569~1618, 조선의 문신이며 문학가)은 그의 묵죽화의 자연스러움과 사실성(寫實性)을 함께 칭송하였으며, 이정구(李廷龜, 1564~1635, 조선의 문신)는 소동파(蘇東坡 1036~1101, 중국 북송의 시인이며 정치가)의 신기(神氣)와 문동(178)의 자연성을 모두 갖추었다고 평하였다.

그의 묵죽화법은 조선 초기의 세죽(細竹) 경향에서 벗어나 대나무 줄기와 잎의 비례가 좀더 조화되는 모습과 짙은 먹과 옅은 먹의 대나무를 한 화면에 배합하여 거리감⋅공간감의 조성 효과를 내면서 보다 서정적이고 다양한 변화를 부여하였다는 데 특징이 있다. 사의성(思義性)과 사실성을 융합시킨 이러한 화법(畫法)은 당대(當代)는 물론 후대에까지 큰 영향을 미쳤다.

작품으로 [난도(蘭圖)]⋅[묵죽도(墨竹圖)](71.5×127.5cm, 서울 간송 미술관, 같은 제목의 또다른 [묵죽도] 2점이 경기도 용인 호암 미술관과 서울 국립 중앙 박물관에 있다.)⋅[죽도(竹圖)]⋅[청죽보(靑竹譜)](개인 소장)⋅[통죽도(筒竹圖)](서울 국립 중앙 박물관)⋅[풍죽도(風竹圖)](서울 간송 미술관) 등이 있다.

상위  이전  다음


제작 : 동방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