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ㅈ>저>전순거  

인쇄 하기  html이나 txt파일로 저장 합니다.  원하시는 곳에 붙여넣기 하세요.  글자 크기 크게 글자 크기 작게
- 전순거(錢舜擧) -

중국 송(宋)나라(960~1270) 말 원(元)나라(1271~1368) 초의 화가.

자(字)는 순거(舜擧), 호(號)는 옥담(玉潭)·손봉(巽峰)·삽천옹(?川翁)·습란옹(習?翁).

저장성(浙江省) 우싱현[吳興縣, 지금의 후저우(湖州)]에서 태어났다.

남송(南宋, 1127~1279) 경정 연간(景定年間, 1260~1264)에 진사시(進士試)에 급제(及第)하고, 원나라 초 서화(書?)의 천재 조맹부(539)를 우두머리로 하는 ‘우싱팔준(吳興八俊)’의 한 사람이다. 그보다 10여 세 아래인 조맹부는 젊어서 그에게 그림 지도를 받았으므로, 원나라 화단(?壇)의 복고 운동은 이 두 사람에 의하여 추진되었다. 화우(?友)이며 문인(文人)인 왕연(349)·조맹부·진중인(陳仲仁) 등과 ‘우싱파(吳興派)’라는 한 파를 이루었다.

송나라가 멸망하고 조맹부가 원나라 조정(朝廷)의 부름을 받자, 그 일파가 모두 그 연줄로 벼슬길에 나아갔으나, 전선만은 벼슬길로 나아가지 않고 떠돌아다니며 시를 짓고 그림을 그리면서 일생을 마쳤다.

인물·산수(山水)·화조(花鳥)·소과(蔬果)를 잘 그렸는데, 인물화는 북송(北宋, 960~1126)의 이공린(393), 산수화는 북송의 귀족 화가 조영양(546), 청록 산수는 조백구(540), 화조화는 조창(553)을 본받았는데, 화조화는 서희(238)에 의하여 창시된 수묵 담채(水墨淡彩)의 서씨체(徐氏體)에 황씨체[黃氏體, 중국 오대 촉나라의 화가 황전(628)이 시작한 화조화 화법의 한 양식]를 도입하였고, 산수화는 남북 양종(兩宗)의 경향을 종합한 복고적인 것이었다.

‘그림 속에 선비의 기개가 담겨 있어야 하며, 남송 화원의 기풍을 벗어나 당(唐)나라(618~907)·오대(五代, 907 ~960)·북송의 화법(?法)을 추구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사실상 복고를 통하여 새로움을 추구한 것이었다.

화초의 절지화(折枝?)에 뛰어났으며, 뜻에 맞는 작품을 만날 때마다 시를 그 위에 지어 놓아 창작 의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화풍(?風)은 사실적(寫實的)이고 중후한 채색의 아름다움을 본령(本領)으로 하였다. 특히 도연명[陶淵明, 365~427, 중국 동진·남북조 시대 남조(南朝) 송나라의 시인]을 그린 것은 고결한 뜻과 행동을 높이 평가하였기 때문이며, 죽림칠현[竹林七賢, 중국의 후한 말에서 위나라를 거쳐 서진(西晉, 265~316)에 이르는 동안(2세기 말~4세기 초), 문학을 사랑하고 술과 바둑과 거문고를 즐기면서 세상을 등지고 대나무 숲에 모여서 청담(淸談)을 나누었던 산도(山濤, 205~ 283, 중국 진나라의 학자이며 정치가)·완적(阮籍, 210~263,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사상가이며 문학자·시인)·완함(阮咸)·왕융(王戎, 234~305, 중국 진나라의 문인이며 정치가)·유령(劉伶, 221?~300?, 중국 위진 시대의 문인)·향수(向秀, 227?~277, 중국 위진 시대의 철학자이며 천문학자)·혜강(?康, 223~262,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시인이며 철학자) 등 일곱 사람의 지식인을 일컫는 말.]을 그리면서 산도와 왕융을 그리지 않은 것은 그들이 변절하여 새 조정(朝廷)에서 벼슬을 하였기 때문이다.

소과와 화조를 그린 것은 자신의 굳은 지조(志操)와 전원(田園) 생활의 만족을 표현한 것이다. <석서도(碩鼠圖)>에는 통치자의 잔학함과 뻔뻔스러움을 풍자한 것이 잘 나타나 있다.

유유자적하게 지팡이를 들고 있는 도연명의 기개 높은 모습을 그린 <도연명상(陶淵明像)>, 옅은 녹색과 짙은 먹을 사용하여 섬세하고 맑은 느낌을 주는 <부옥산거도(浮玉山居圖)>[상하이 박물관(上海博物館)], 색조가 맑고 우아하며 준법[?法, 동양화에서 산애(山崖)나 암석의 굴곡 등의 주름을 그리는 화법. 산이나 흙더미 등의 입체감·양감을 표현하기 위한 일종의 동양적 음영법(陰影法)]을 사용하여 장식미가 있는 <유거도(幽居圖)> 등이 있으며, <모란도(牡丹圖)>·<순도(筍圖)>·<절지계두화도(折枝鷄頭花圖)> 외에 장식적 화조도가 많이 전하여 온다.

시적(詩的)인 정서와 그림 속에 담긴 뜻이 공개(79)만큼 직설적이거나 비분강개(悲憤慷慨)하지는 않았지만, 회화사(繪?史)에서 비교적 보기 드문 화가이다.

이 밖의 작품으로 <귀거래사도(歸去來辭圖)>·<도지송서도(桃枝松鼠圖)>·<산거도(山居圖)>·<양귀비 승마도(楊貴妃乘馬圖)>[워싱턴 프리어 미술관(Freer Gallery of Art, Washington D.C.)]·<연화도(蓮花圖)>·<왕희지 관아도(王羲之觀鵝圖)>[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이화도(梨花圖)>·<추과도(秋瓜圖)>[타이베이 국립 구궁 박물원(臺北國立古宮博物院)]·<치자도(梔子圖)>(워싱턴 프리어 미술관)·<팔화도(八花圖)>·<화조도(花鳥圖)> 등이 있다.

상위  이전  다음


제작 : 동방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