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ㅊ>초>최백  

인쇄 하기  html이나 txt파일로 저장 합니다.  원하시는 곳에 붙여넣기 하세요.  글자 크기 크게 글자 크기 작게
- 최백(崔白) -

- 생몰년 : ?~?
- 국    가 : 중국


崔白 ?~?

중국 북송(北宋, 960~1126)의 화가.

자(字)는 자서(子西).

안후이성(安徽省) 호량[濠梁, 지금의 펑양(平壤) 동쪽]에서 태어났다.

소동파[蘇東坡, 1036~1101, 중국 북송의 시인이며 정치가. 소식(蘇軾)]보다 연상(年上)이고, 곽희(43)와는 비슷한 연배이다.

꽃과 새 등 연지도(蓮池圖)와 수금도(水禽圖)를 장기(長技)로 하고, 연꽃⋅오리⋅기러기의 정교한 그림으로 명성을 얻었고, 도석 인물화[道釋人物畫, 신선(神仙)이나 불교의 고승(高僧)⋅나한(羅漢) 등의 인물을 그린 그림, 道釋畫]와 불화(佛畫)를 그려 이름이 높았다.

신종(神宗, 1048~1085, 중국 북송의 제6대 황제. 재위 1067~1085)은 그를 화원(畫院)의 예학(藝學)에 임명하려고 하였으나, 성격이 호방하여 보직(補職)을 받지 않고 화원과 관계를 가지며 작품 활동을 하였다. 나중에 황제의 특별 분부가 없으면 그림을 그리지 않는다는 허락을 받고 나서야 벼슬을 받아들였다.

오대(五代, 907~960) 이래 화원의 화조화(花鳥畫)는 황전(628)에 의하여 시작된 황씨체(黃氏體)를 이어받고 있었으나, 그는 서희(238)에 의하여 창시된 수묵 담채(水墨淡彩)의 서씨체(徐氏體)를 터득하여 화원의 화풍(畫風)에 종합적이며 이상주의(理想主義, idealism)적인 방향을 제시하여 주었다.

황전의 화풍이 북송의 화조화를 지배한 지 100년이 넘었으나, 최백과 그의 제자 오원유(吳元瑜)에 이르러 격식이 바뀐 뒤 새로운 면모가 나타났다. 최백과 오원유 두 사람 모두 휘종(637) 및 그 뒤의 화조화풍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그의 화조화는 황파(黃派)에 비하여 묘사 대상이 광범위하며 화법(畫法)도 생동감이 넘친다. 강호(江湖)와 교외(郊外)에 풍설(風雪)이 엇갈리는 그림을 많이 그렸고,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경물(景物)에도 뛰어났다. 필력이 웅건하고 변화무쌍하며, 색감도 청신하고 우아하다. 특히 새⋅짐승과 자연 경물 사이의 상호 연관성을 중시하였고, 항상 사람의 감정을 이입시켰으며, 새의 생명력에 대하여 찬사를 표하였다. 또 큰 화면의 그림을 즐겨 그렸는데, 그 기세가 웅건하고 생동적이다.

소동파와 왕안석(王安石 1021~1086, 중국 북송의 정치가이며 시인⋅문필가)은 그를 찬미한 시를 남겼다. 오원유와 제자 최각 역시 세류의 기조를 변화시키고 이른바 원체(院體)를 이루었다. [선화화보(宣和畫譜)]에는 그들 세 명의 작품이 497폭 가량 실려 있는데, 지금은 다만 최백의 [쌍희도(雙喜圖)]⋅[죽구도(竹鷗圖)]⋅[한작도(寒雀圖)]만 전한다.

석각(石刻) [포대나한도(布袋羅漢圖)]에는 소동파의 제찬(題贊)이 있는데, 최백이 지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 밖에도 남송(南宋, 1127~1279)의 자수품 한 폭이 있다.

상위  이전  다음


제작 : 동방미디어